지난 시간에 이어서 결정적 순간을 창조하는 4가지 요소 인 교양, 통찰, 긍지, 교감의 순간 중 2가지인 긍지와 교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순간의 힘] 교양의 순간과 통찰의 순간 - 나이가 들수록 시간은 왜 빠를까?

 

긍지의 순간은 우리가 최선의 모습을 드러낼 때 발생합니다. 용기를 무릅쓰고, 남들에게서 인정받고, 도전을 극복하는 것처럼 말이죠.

 긍지의 순간이 탄생하는 것은 대개 '다른 사람이 우리의 역량을 알아봤을 때'입니다. 그리고 타인을 위해 긍지의 순간을 창조하는 여러 방법들 중에서 가장 간단한 것은 그들을 인정하고 칭찬하는 것입니다. 방식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말로 중요한 것은 진실성입니다.

 

과거에 직원 동기 부여에 대한 연구가 있었습니다. 46년에 걸친 연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는 동기 요인 중 하나가 바로 '직무 완수에 대한 합당한 인정'이었습니다.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이 직장을 그만두는 가장 큰 이유는 합당한 인정과 칭찬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기업 리더들은 이 같은 사실을 인식하고 있으면서도 기껏해야 대응책으로 공로 인정 프로그램을 고안하는 데 그친다. 이를테면 '이달의 우수사원' 같은 것처럼 말이다."

"중요한 것은 직원들을 치하할 때 단순히 프로그램에 입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적이고 개인적인 특성을 가미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연구에서도 직업적 삶에서 가장 결정적 순간에 대해 물었을 때 얼마나 많은 응답자들이 개인적이고 소소한 사건을 들었는지 모른다."

 

"매니저가 내가 재고 확인을 위해 창고에 있는 자전거를 전부 닦고 정리해놓은 것을 크게 칭찬했다. 누군가 내 노고를 알아보고 인정해줬다는 데 큰 보람을 느꼈다."

 

"고객이 발견 못한 문제를 발견하고 빠르게 바로 잡았다. 나중에 고객은 깊은 인상을 받았는지 상관에게 내 칭찬을 늘어놓았다. 처음으로 상사가 내가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있는지 처음으로 깨달은 순간이었다고 믿는다."

 

방식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교감의 순간은 사회적인 경험입니다. 결혼식과 졸업식, 스포츠 경기 등을 살펴보면 이 같은 순간들이 강렬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다른 이들과 함께 공유하기 때문입니다.

 

교감의 순간은 우리를 타인과 연결해줍니다. 우리는 온정과 동질감, 공감, 그리고 인정을 느끼죠. 그리고 집단은 고난과 시련을 공유함으로써 유대감을 쌓습니다.

 

"한 무리의 사람들이 짧은 시간 내에 결손력을 다졌다면, 그들은 함께 고난을 헤쳐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 한 연구조사에 따르면 처음 보는 사람일이라도, 고통스러운 과제를 같이 수감하면 강한 유대감을 느낀다. 이런 유대감은 심지어 아무 의미도 없는 일을 할 때도 나타낸다."

 

사람은 자신의 일에서 의미를 찾을 때 기꺼이 동참합니다. 그리고 함께 고생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거대한 물결이 이어질 때 모두가 남은 평생 그 일을 기억할 것입니다. 

 

 

이 책에서 말하는 것들과 같이 약간의 관심과 노력만으로도 평범한 순간을 탁월한 순간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어렸을 때 들었던 선생님의 작은 칭찬 한마디가 자부심이 되듯이, 우리는 탁월한 순간을 만들기 위해 혹은 만들어 주기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해야 합니다.

우리는 고양과 통찰, 긍지와 교감을 전하는 순간을 직접 설계할 수 있습니다. 그 순간들은 우리 삶을 의미 있게 만들어 줄 겁니다. 그리고 그것을 창조하는 일은 결국 우리의 몫인걸 잊으면 안 됩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